배터리 기본 용어 정리
배터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숙지할 용어가 많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몇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lectrode Capacity (mAh)
= practical capacity of materials × weight of active materials
전극 용량 (mAh): 전극 소재의 실제 용량과 그들의 무게를 곱하여 얻습니다시킵니다. 실제 용량은 실제 조건에서 주기적으로 충방전 할 수 있는 전극 내에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입니다. 활성 물질의 무게는 충방전 과정에서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물질의 총 무게입니다.
Irreversible Capacity, Q Irre
= charge capacity – discharge capacity
비가역 용량, QIrre: 이 식은 전극의 비가역 용량을 계산합니다. 비가역 용량은 충방전 사이에 주기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전하량입니다. 일반적으로 충방전 중에 발생하는 부작용 반응, 예를 들어 고체 전해질 인터페이스(SEI) 층 형성 또는 전해질 분해로 인해 발생합니다.
Coulombic Efficiency (CE, %)
= (discharge capacity / charge capacity) × 100
쿨롱 효율 (CE, %): 이 식은 충방전 중 전극의 효율성, 즉 충전 중 입력된 전하량과 방전 중 회수할 수 있는 전하량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100%의 CE는 충전 중 입력된 모든 전하량이 방전 중 회수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Energy Density (Wh/l, Wh/kg)
= capacity × operating voltage / (unit volume or unit weight)
에너지 밀도 (Wh/l, Wh/kg): 이 식은 전극의 용량과 작동 전압, 그리고 단위 체적 또는 단위 무게를 관련시킵니다. 단위 체적 또는 단위 무게당 저장될 수 있는 에너지 양을 나타내는 지표를 제공합니다.
Loading Density (mg/cm2)
= [(total electrode weight - current collector weight)*active materials ratio] / area
하중밀도( mg/cm2):이 용어는 단위면적당 하중된 활물질의 양을 나타낸 값입니다.
Electrode Density (g/cc)
= active material weight / [(electrode thickness – current collector thickness) ⅹ area]
전극 밀도 (g/cc): 이 식은 전극과 집전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활물질의 무게를 전극의 총 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전극의 밀도와 패킹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