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터리 지식

테슬라 4680 배터리

728x90
728x90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3866 

 

테슬라 4680 배터리 성능 떨어진다…삼성SDI 대안 되나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자체 생산한 4680 배터리 성능이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핵심 파트너사인 파나소닉도 4680 배터리 양산 시점을 연기한 가운데 삼성SDI가 새로

www.theguru.co.kr

<4680 배터리 생산의 위기>

위 기사에서 밝혀졌듯이 테슬라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4680배터리가 낮은 수율로 고생할때 부터 말이 많기 시작하더니 결국 제조 협력사인 파나소닉도 양산 delay를 발표하였고 금일 테슬라에서도 2170 원통형 배터리 대비 양산품 성능이 더 떨어진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https://energyengineer.tistory.com/19

 

Tesla 4680 배터리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전기차 시장에 참여하는 회사들의 배터리 기술개발에 관한 이야기를 하나씩 해볼까 합니다. 첫번째로는 전기차 시대를 이끌어온 테슬라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energyengineer.tistory.com

 

이는 테슬라가 야심차게 준비한 사이버트럭의 성능과 출시의 delay가 불가피한것을 뜻하며 현재 예측되는 바로는 사이버트럭의 주행 거리는 300마일중반대로 추측이 되어집니다.

 

4680배터리의 경우 2170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 5배, 출력 6배의 향상으로 주행거리가 15프로 가량 증가할것으로 기대를 했었지만 이 계획이 틀어지게 되면서 대안을 빨리 찾아야될 상황에 직면하였습니다.

 

<삼성 SDI의 기회?>

이에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삼성 SDI와의 계약이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예측이 되는데 삼성 SDI는 이미 자체 기술로 4680배터리의 생산라인을 구축하였을 뿐더러 테슬라와의 계약이 체결이 될시 현재 2026년에 상용화를 타겟으로 하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생산까지 더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측이 되고 있습니다.

 

배터리의 기술개발은 현재 중국, 한국, 일본, 미국에서 전기차에 가장 효율적이고 가격이 저렴한 배터리를 양산화 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데요.

High Ni 양극과 Si/Gr 음극이 현재 시제품의 주를 이루고 향후 3년안으로는 대부분의 제품이 LFP-Si/Gr 또는 High Ni-Si/Gr의 제품을 탑재할 것으로 예측이 됩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변화의 바람은 반고체전지-전고체전지 또는 바로 전고체 전지로 넘어가는 시기가 언제 일것이냐는 추측이 많은 배터리 전문가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만 확실한건 SDI를 주축으로 여러 회사들이 전고체로 적용을 하기위해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수년안으로 상용화가 가능한 공장 라인이 설비가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728x90
반응형

'배터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